야생화

만주바람꽃

돌핀샘 2017. 3. 31. 13:00







만주바람꽃의 꽃말은 "덧없는 사랑"





이 작고 귀여운꽃의 꽃말이

 "덧없는사랑"이라니,,왠지 어울리지는 안지만

꽃말을 느껴보니 외로워 보인다.





바람으로 씨를 뿌리는

식물 이름 앞에 지명이 들어가면 대부분 그 지역에서

가장 먼저 발견된 식물을 의미한다.

그런 종류는 대개 특산종으로 취급되며, 다른 곳에서는

생육이 잘 안 되는 것도 많아 보호식물로 지정받은 게 많다. 만주바람꽃은

만주에 많이 자라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서도 볼 수 있는

 여러해살이풀로 토양에 부엽질이 많은 양지쪽에서 자란다.










바람꽃은 바람을 유난히 좋아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대표종인 바람꽃은 꽃이 7~8월에 흰색으로 피는 여름 꽃이지만

만주바람꽃은 4~5월 피는 봄꽃으로

 꽃샘추위가 끝날 때쯤이면 꽃을 피우는 강인한 들꽃이다.

키는 15~20㎝이고, 뿌리 부분은 마치 고구마 줄기처럼

많은 괴근이 달려 있는 것이 특이하다.

어린 싹이 올라올 때는 마치 개구리 발톱과 같은 모양으로 올라온다.


        




                                      





잎은 한 잎에서 3갈래로 갈라지고 다시 잎은 2~3개로 갈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꽃은 옅은 노란색과 흰색으로 잎 사이에서 한 송이씩 달리며

지름은 약 1.5㎝이고, 긴 꽃자루가 있다. 열매는 6~7월경에 달리고 종자는 검은색이다.





대개의 바람꽃 학명에는 ‘아네모네’라는 것이 붙는다.

 이 학명은 그리스어로 바람을 뜻하는 ‘아네모스’에서 유래한다.

아네모네라는 꽃도 물론 있다. 바람꽃과 비슷한데,

 알뿌리에서 7~8개의 꽃줄기가 자라서 끝에 꽃이 1개씩 달린다.




 4~5월에 피는 꽃은 간색·흰색·분홍색·하늘색·노란색·자주색 등

 아주 다양한 색상이 있다. 이들 바람꽃에는 그리스신화 이야기가 숨어 있다.

 미소년 아도니스가 죽을 때 흘린 피가 바로 바람꽃이 되었다고 한다.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며,

주로 관상용으로 쓰인다.

우리나라와 중국 동북부인 만주, 우수리 강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 (백과사전)
























































































예봉산 세정사에서,,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길  (0) 2017.04.06
천마산 노루귀  (0) 2017.04.03
중의무릇  (0) 2017.03.31
제비꽃  (0) 2017.03.31
복수초  (0) 2017.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