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속의 석양
숭인동 동망정에서 보는 일몰
오랫만에 동대문 에 볼일이있어 나온김에
처음으로 들러본 동묘,
동묘는 서울문화재로 유명하다지만
처음으로 동묘 안을 들어갔다는게 왠지 부끄러운 생각이 든다.
서울동묘는 중국 촉한(蜀漢)의유명한 장군인 관우(關羽)를
제사하는 사당으로서 원래의 명칭은 동관왕묘(東關王廟)이다.
관우는 관성제ㅔ군(關聖帝君).관보살(關菩薩)이라고도 하며,
무운(武運)과 재운(財運)의 수호신으로서중국인의 신앙대상이였고,당(唐)나라
중기부터 무신(武神)으로서 관제(官祭)의 하나가 되었다.
명나라 영락제(永樂帝)가 타타르를 정벌 하였을때,청나라 강희제(康熙帝)가
대만(臺灣)에 있던 명나라 유신(遺臣)의 폭동을 진압하려 하였을때,
영험이 있었기 때문에 왕조의 존경과 숭상이 더욱 두터워 지면서,
관우는 신성불가침의 우상이 되어 각지에 그를 모시는 사당인 관제묘[關帝廟.무묘(武廟)]를 세웠다.
또한 재신(財神)으로서 숭배된것은 관우가 위(魏)의 조조(曹操)에게 잡혔을때,
조조가 그에게 상마금9上馬金).하마은(下馬銀)등의 푸짐한 상을 내렷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사퇴하고 촉 나라 유비(劉備)에게로 돌아갔다는 고사에 따른것이며,
도교(道敎)에서도 관우를 사후세계의 유력한 신으로 모시고 있다.
서울 동묘는 임진왜란이 발발하여 조선과 명나라군대가 왜군을 물리칠때 관우이 신령(神靈)이
여러번 나타나서 덕을 입었다고 생각하여,명나라의 신종(神宗) 비용과 친필로쓴 액자를 보내오고,
조선에도 협조하여 선조 32년(1599)에 착공하여 2년뒤 (1601)완공한 것이다.
정문은 정면5칸,측면2칸의 팔작지붕이며,중문은 정면3칸,측면4칸의 팔작지붕이다.
중문 내정(內庭)좌우에는 동,서 행랑이 있다.이어서 높은 단위에 자라잡고 있는
단층정전(正殿)은 전실(前室)과 본실(本室)로 구분되는 정자(丁字)형태를 띠고 있으며,
정면5칸(57.5척),측면6칸(63.5척)에 양식은 익공계9翼工系)이다.
현재 건물안에는 관우의 목조상과 그의 친족인 관평(關平)주창(周倉)등 4명의 상을 모시고 있다.
평면상의 특징은 앞 뒤로 긴 직 사각형을 이루고 있있고,옆면과 뒷면의 벽을 벽돌로 쌓았다는 점이다.
또한 건물안쪽에는 화려한 장식이 돋 보이는데,이와같은 특징들은 중국의영향을 받은것으로
한국의 다른 건축들과 비교해 색다른 모습들을 보여 주고 있다.
서울 동묘와 비슷한 시기인 선조31년(1598)에 경상도 성주와 안동에도
명나라 장군들에 의해 세워진 관왕묘(關王廟)가 남아 있다.한편 서울 지역에는
동묘 이외도 서묘,남묘,중묘가 있으며,이중 남묘는 현재 동작구 사당동에 위치해 있다.
굳게 잠긴 문으로 화려한 실내를 볼수 없어 아쉬움이 남는다.
동망정
동망정에 올라오니 해는 어느덧
도심의 아파트 숲사이로 넘어가고 있다
도심에서의 저녁 풍경도 참 아름답다.
'아름다운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몰과 반영,, (0) | 2012.03.27 |
---|---|
한강의 저녁노을 (0) | 2012.02.18 |
풍경이 있는 겨울 여행 (0) | 2012.01.27 |
겨울 공원 (올림픽공원) (0) | 2012.01.25 |
허브공원의 일몰 (0) | 2012.01.25 |